을 포함하는 두 글자의 단어: 83개

한 글자:1개 💕두 글자: 83개 세 글자:95개 네 글자:56개 다섯 글자:26개 여섯 글자 이상:33개 모든 글자:294개

  • : (1)‘마분지’의 방언
  • : (1)중국 북송(北宋)의 화가(?~?). 자는 순부(淳夫). 계절에 따른 경관(景觀)의 변화, 빛과 구름의 상태 따위의 묘사에 뛰어났다. 작품에 <계산추제도권(溪山秋霽圖卷)>, 저서에 화론(畫論) ≪임천고치≫ 따위가 있다.
  • : (1)안쪽 테두리.
  • : (1)중국 서진(西晉) 말에서 동진(東晉) 초의 학자ㆍ시인(276~324). 자는 경순(景純). 박학하고 시문과 점술에 뛰어나 원제에게 상서랑(尙書郞)으로 임명되었다. 322년에 중신인 왕돈(王敦)이 반란을 일으켜 관군이 패하자 살해되었다. ≪목천자전≫, ≪초사≫, ≪산해경≫ 따위의 주석이 유명하다.
  • : (1)벌통에서 떠낸 꿀을 모아 담는 큰 통. 보통 굵고 긴 통나무를 가로누이고 속을 파서 만든다.
  • : (1)바닷가에서 미역을 따는 곳.
  • : (1)어떤 구역의 밖. (2)중국 전국 시대 연나라의 정치가(?~?). 현인(賢人)을 맞으려면 먼저 가까이 있는 하찮은 사람부터 대우를 잘하라는 ‘선종외시’의 고사로 유명하다.
  • : (1)‘여곽’의 북한어.
  • : (1)중국 후한(後漢) 때의 사람(?~?). 집이 가난하여 노모(老母)가 굶주리는 것을 보고, 이를 면하게 하기 위하여 자식을 묻고자 땅을 파다가 황금 솥을 얻었다고 한다.
  • : (1)더위로 인하여 갑자기 게우고 설사를 하는 증상.
  • : (1)벽돌로 쌓아 만든 옛 무덤의 현실(玄室) 벽.
  • : (1)‘윤곽’의 북한어.
  • : (1)어떤 구역의 안.
  • : (1)고려 후기의 문신(1232∼1286). 자는 선갑(先甲), 호는 연담(蓮潭). 원종 때 일본에 왜구의 침범을 중지시킬 것과 잡혀간 고려인의 송환을 요구했고, 충렬왕 때 우부승지, 좌승지, 국자감 대사성, 문한 학사를 거쳤다.
  • : (1)한 무덤 안의 여러 곽 가운데 중심이 되는 인물의 주검을 넣은 곽.
  • : (1)‘갈퀴’의 북한어. (2)‘괭이’의 방언
  • : (1)중국 은나라 이윤(伊尹)과 한(漢)나라의 곽광(霍光)을 함께 이르는 말. (2)‘귓바퀴’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.
  • : (1)미역의 대가리.
  • : (1)콩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.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 끝에 세 개의 작은 잎이 달린다. 8~9월에 노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타원형의 협과(莢果)로 꼬투리가 편평하다. 콩나물용으로 재배하고 경상, 전라에 분포한다.
  • : (1)명아주 잎과 콩잎이라는 뜻으로, 아주 변변치 못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• : (1)‘도시락’의 북한어.
  • : (1)반찬을 담는 작은 그릇.
  • : (1)미역이 붙어서 자라는 바위.
  • : (1)으뜸 덧널에 딸려 있어 대개 껴묻을 거리를 넣어 두는 곳.
  • : (1)조선 시대에, 미역을 따는 사람에게서 받던 세금.
  • : (1)중국 후한(後漢) 말의 정치가(170~207). 자는 봉효(奉孝). 순욱(荀彧)의 추천으로 조조(曹操)의 참모가 되었으며, 뛰어난 계책을 내어 조조의 군대가 여포(呂布)를 생포하거나, 유비(劉備)의 군대를 격파하는 데 일조하였다. 풍토병으로 38세의 나이에 요절하였다.
  • : (1)고려 말기의 무신(?~?). 우왕 2년(1376)에 체복사(體覆使)로 있을 때 연호군(煙戶軍)과 별군(別軍)의 폐지를 주장하였으며, 여러 차례 왜구의 침입을 격퇴하였다.
  • : (1)요새 따위의 중앙에 튼튼한 벽으로 둘러싼 중요한 곳.
  • : (1)예전에, 무덤에 관과 부장품을 넣기 위하여 나무로 만든 시설.
  • : (1)일이나 사건의 대체적인 줄거리. (2)사물의 테두리나 대강의 모습. (3)인지적으로 낱말이 지시하는 실체를 받아들이는 틀. 바탕이 되는 큰 단위에서 하위 구조를 부각 시킴으로써 나타난다. 예를 들어 ‘손가락’은 더 큰 바탕인 몸, 팔, 그리고 손으로 영역이 좁혀지면서 그 안에서 지위를 획득한다.
  • : (1)미역을 넣어 끓인 국.
  • : (1)‘성냥갑’의 방언
  • : (1)중국 전한(前漢)의 장군(?~B.C.68). 무제를 섬기다가 무제가 죽자 실권을 장악하였다. 어린 소제를 보좌하여 대사마 대장군(大司馬大將軍)이 되었으며, 소제가 죽은 뒤 선제를 즉위시켜 20여 년 동안 권력을 누렸다.
  • : (1)등뼈, 갈비뼈, 가슴뼈와 가로막으로 이루어지는 원통 모양의 부분. 심장, 허파, 식도 따위를 보호하고 흉근으로 운동하여 호흡 운동을 돕는다.
  • : (1)많은 창녀를 두고 매음 영업을 하는 집. 또는 그런 집이 모여 있는 곳.
  • : (1)우뚝하게 높이 솟아 성곽같이 된 산. (2)산속에 있는 마을. (3)산중의 성곽. (4)골상학에서, 눈동자의 윗부분 반쪽을 이르는 말. (5)아이를 낳은 사람이 먹을 미역.
  • : (1)눈의 흰자위.
  • : (1)내성(內城)과 외성(外城)을 통틀어 이르는 말. (2)예전에, 적을 막기 위하여 흙이나 돌 따위로 높이 쌓아 만든 담. 또는 그런 담으로 둘러싼 구역.
  • : (1)넓고 길쭉한 미역.
  • : (1)항해에 필요한 각종 장비나 기관 따위를 제외한 배의 골격과 외곽을 형성하는 구조 주체. 공장에서 만든 블록으로 선대(船臺) 위에서 조립한다.
  • : (1)흰담비의 털가죽. 털의 끝부분이 연두색이며, 담비의 털가죽 가운데 품질이 가장 나쁘다.
  • : (1)시체가 안치되어 있는 무덤 속의 방.
  • : (1)‘성냥갑’의 방언
  • : (1)마찰에 의하여 불을 일으키는 물건. 작은 나뭇개비의 한쪽 끝에 황 따위의 연소성 물질을 입혀 만든다. 황린(黃燐), 적린(赤燐), 무린(無燐) 성냥 따위가 있다. ⇒규범 표기는 ‘성냥’이다.
  • : (1)중국 서진(西晉)의 사상가(?~312). 자는 자현(子玄). 사도연(司徒掾)과 사공연(司空掾), 태학 박사(太學博士), 황문시랑(黃門侍郞) 등을 역임했다. 위진 남북조 시대 현학(玄學)의 대표적 인물로서 노장의 신비주의 사상을 신봉하였다. 저서로 ≪장자주(莊子注)≫가 있다.
  • : (1)‘석곽’의 북한어.
  • : (1)음식이 체하여 토하고 설사하는 급성 위장병. 찬물을 마시거나 몹시 화가 난 경우, 뱃멀미나 차멀미로 위가 손상되어 일어난다.
  • : (1)빨리 흩어짐.
  • : (1)제철이 되기 전에 따서 말린 미역. (2)손톱이나 발톱의 옆 또는 몸쪽 부분과 접하는 피부 주름.
  • : (1)고려 예종 때의 문인(1058~1130). 자는 몽득(夢得). 홍주(洪州) 목사(牧使)를 지냈으며, 예종이 즉위한 후 궁중 순복전(純福殿)에 있으면서 왕의 스승으로 담론하였다.
  • : (1)국화과의 한해살이풀. 높이는 2미터 정도이며,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인데 가장자리에 굵은 톱니가 있다. 8~9월에 노란색의 큰 두상화(頭狀花)가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수과(瘦果)를 맺는다. 씨는 기름을 짜서 등유로 쓰거나 식용하고 줄기 속은 이뇨, 진해, 지혈에 약재로 쓴다. 관상용이고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세계 각지에 분포한다.
  • : (1)가로(街路)와 가로 사이를 차지하는 한 구역.
  • : (1)‘필갑’의 방언
  • : (1)방문 같은 데에 달린, 잠금장치를 한 틀에 끼워 맞춘 판.
  • : (1)‘다시마’의 방언
  • : (1)물고기와 해조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.
  • : (1)장곽(長藿)보다 짧게 채를 지어 말린 미역. 대개 길이 70cm, 넓이 7cm가량으로 자르는데 빛이 검고 품질이 좋다.
  • : (1)유럽소나무담비의 털가죽. 털의 밑동이 푸른빛을 띤 것으로 담비의 털가죽 가운데 중길로서 잘 다음으로 질이 좋다.
  • : (1)아래 눈꺼풀의 코에 가까운 곳.
  • : (1)많은 창녀를 두고 매음 영업을 하는 집. 또는 그런 집이 모여 있는 곳.
  • : (1)‘뻐꾸기’의 방언
  • : (1)함경남도 단천읍 북쪽 42km 지점에 있는 고개. 종유굴(鍾乳窟)이 있으며, 구슬 같은 돌들이 암벽에 만물상을 이루고 있다.
  • : (1)음식이 체하여 토하고 설사하는 급성 위장병. 찬물을 마시거나 몹시 화가 난 경우, 뱃멀미나 차멀미로 위가 손상되어 일어난다.
  • : (1)삽날의 끝이 모가 지고 운두가 약간 높으며 삽날이 넓적한 삽. 주로 석탄을 풀 때에 쓴다.
  • : (1)분을 담아 두는 조그만 갑. ⇒규범 표기는 ‘분갑’이다.
  • : (1)서책 책장의 사주(四周)를 둘러싸고 있는 검은 선. 사주 단변(四周單邊), 사주 쌍변(四周雙邊), 좌우 쌍변(左右雙邊) 따위가 있다.
  • : (1)물가에 있는 마을. (2)‘눈동자’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.
  • : (1)자연 석괴로 토광 내 장방형의 곽을 쌓아서 만든 것.
  • : (1)바깥 테두리. (2)성 밖으로 다시 둘러쌓은 성. (3)관(棺)을 담는 곽.
  • : (1)‘갈퀴’의 방언
  • : (1)예전에 세력을 떨치던 ‘走’ 자 변의 이름을 가진 곽준(郭䞭)의 여덟 형제의 별명. 곽주(郭走)가 변한 것으로, 보채거나 우는 아이를 을러서 달랠 때에 쓰는 말이다. (2)‘박쥐’의 방언
  • : (1)시체를 넣는 속 널과 겉 널을 아울러 이르는 말.
  • : (1)떡갈나무의 잎으로 만든 약재. 치질, 설사, 갈증을 치료하며 살충제로도 쓰인다.
  • : (1)하나의 담장으로 둘러친 지역. 또는 같은 성질의 것이 모여서 이루어진 구역.
  • : (1)검은담비의 털가죽.
  • : (1)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. 줄기는 높이가 20~30cm이며, 온몸에 털이 있다. 잎은 달걀 모양이고 톱니가 있다. 7~9월에 입술 모양의 연한 붉은색 꽃이 총상(總狀) 화서로 핀다. 산에 자라는데 제주, 함북 등지에 분포한다.
  • : (1)갑자기 사라져 없어지는 모양. (2)큰 모양.
  • : (1)중국 오대 후주(後周)의 제1대 왕(904~954). 자는 문중(文仲). 오대 후한(後漢)의 은제(隱帝)에게 중용되어 병마(兵馬)의 최고권을 위임받았다. 은제가 죽은 뒤 제위에 오르고 주나라를 건국하였다. 재위 기간은 951~954년이다.
  • : (1)갈조류 미역과의 한해살이 바닷말. 잎은 넓고 편평하며, 날개 모양으로 벌어져 있고, 아랫부분은 기둥 모양의 자루로 되어 바위에 붙어 있다. 빛깔은 검은 갈색 또는 누런 갈색이고 길이는 1~2미터, 폭은 60cm 정도이다. 대체로 가을에서 겨울 동안 자라고 늦봄이나 첫여름에 홀씨로 번식한다. 예로부터 식용으로 널리 이용하였으며 요오드, 칼슘의 함유량이 많아 발육이 왕성한 어린이와 산부(産婦)의 영양에 매우 좋다. 간조선 이하의 바위에 떼 지어 붙어 사는데 한국의 남해안, 북해도, 중국 동부 해안 등에서 많이 난다.
  • : (1)‘도시락’의 북한어.
  • : (1)두견과의 새. 두견과 비슷한데 훨씬 커서 몸의 길이는 33cm, 편 날개의 길이는 20~22cm이며, 등 쪽과 멱은 잿빛을 띤 청색, 배 쪽은 흰 바탕에 어두운 적색의 촘촘한 가로줄 무늬가 있다. 때까치, 지빠귀 따위의 둥지에 알을 낳아 까게 한다. 초여름에 남쪽에서 날아오는 여름새로 ‘뻐꾹뻐꾹’ 하고 구슬프게 운다. 산이나 숲속에 사는데 유럽과 아시아 전 지역에 걸쳐 아열대에서 북극까지 번식하고 겨울에는 아프리카 남부와 동남아시아로 남하하여 겨울을 보낸다.
  • : (1)꼭두각시놀음에 나오는 여러 가지 인형.
  • : (1)땅의 둘레라는 뜻으로, 아래위에 있는 눈시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
초성이 같은 단어들

(총 141개) : 가, 각, 간, 갇, 갈, 갉, 갏, 감, 갑, 값, 갓, 강, 갖, 갗, 개, 객, 갠, 갤, 갬, 갭, 갱, 갸, 갹, 걈, 걍, 걔, 걘, 거, 건, 걸, 검, 겁, 겂, 것, 겄, 겇, 겉, 게, 겍, 겐, 겔, 겝, 겟, 겠, 겡, 겥, 겨, 격, 견, 겯, 결, 겸, 겹, 겻, 경, 겿, 곁, 계, 고, 곡, 곤, 곧, 골, 곬, 곰, 곱, 곳, 공, 곶, 곷, 곻, 과, 곽, 관, 괄, 괌, 광, 괘, 괙, 괜, 괠, 괨, 괭, 괴, 괵, 괼, 굄, 굉, 교, 굠, 굥, 구, 국, 굮, 군, 굳, 굴, 굼, 굽, 굿 ...

실전 끝말 잇기

곽으로 시작하는 단어 (101개) : 곽, 곽가, 곽각선생, 곽거, 곽거리, 곽거병, 곽공, 곽공충, 곽광, 곽기, 곽나니, 곽낙원, 곽내, 곽독, 곽란, 곽란에 약 지으러 보내면 좋겠다, 곽란에 죽은 말 상판대기 같다, 곽령, 곽말약, 곽망우당 유물, 곽머리굿, 곽머리 씻김굿, 곽무천, 곽문유산, 곽미거, 곽박, 곽밥, 곽분양전, 곽분양팔자, 곽분양행락도 ...
곽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01개 입니다.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, 곽을 포함하는 두 글자 단어는 83개 입니다.

🦉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?